Programming

해커스쿨

naaya 2016. 2. 20. 02:02
반응형

| 명령어


net send - 상대방 컴퓨터와 메시지를 주고 받는 명령

ping - 접속하려는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

ipconfig - 네트워크 설정값 확인 ip 등

netstat - 내 컴퓨터에 열린 포트를 보는 명령

tracert - 내 컴퓨터에서 상대방 컴퓨터까지 이어진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



| 운영체제의 역사


1953년 GM의 운영체제

1964년 IBM OS/360

1969년 Bell의 UNIX(톰슨 개발, 어셈블리어)

1974년 UNIX 재개발 (데니스 리치, C언어)

1981년 MS-DOS (빌 게이츠)

1991년 Linux 0.10(리누그 토발즈, 무료, 소스 공개)

1994년 MS-Windows 95 , Linux 1.0

2001년 MS-Windows XP, Linux 2.5.0

2003년 MS-Windows XP SP1, MS-Windows 2003, Linux 2.6.0

2006년 MS-Windows Vista, Linux 2.6.16


| 리눅스

1. 일반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.

- UNIX는 Alpha, SPARC 등의 특정한 CPU가 장착된 컴퓨터에만 설치할 수 있었는데,

Linux는 인텔의 80386 등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x86 계열의 CPU에 설치하는게 가능했다.


2. 멀티유저시스템을 지원한다. - 서버시스템으로 활용하기 적절

- 예전의 DOS나 Windows 등의 운영체제는 한 번에 한 명만 사용할 수 있는데에 반해서, 

UNIX나 Linux는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었다.

(멀티유저시스템 하나의 CPU를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멀티 태스크 기술덕분에 가능)


3. 가볍고 안정적이다. - 저사양 컴퓨터에서도 사요가능


4. 무료이며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다. - 내 마음대로 수정 가능


5. 전 세계가 함께 만들어 나가는 운영체제이다. - 지속적이고 빠른 업그레이드


| root 자동으로 생성되는 최고 관리자

- 사용자 관리 (추가, 삭제, 패스워드 변경 등등..)

- 서비스 관리 (Web, FTP, Mail 등의 서비스 설치 및 삭제)

- 시스템 종료 및 리부팅

- 기타 중요한 설정 변경 (날짜/시간, 네트워크 설정, 도메인 설정 등등..)


| TUI 서버 사용 해야 할 경우


1. 원격으로 나의 Linux 서버, 혹은 다른사람의 서버에 접속할때

2. Linux의 설정을 세부적으로 변경하고 싶을 때

3. 소스코드로 이루어진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할때

4. x-windows에 문제가 생겨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을때

5. TUI 기반의 훌륭한 프로그램등을 사용해보고 싶을때



| 리눅스의 종류 및 특징

  • 레드헷 

이전의 배포본들에 비하여 설치가 매우 간편하다는 점

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배포본인만큼 레드헷을 사용하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 해결책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점


  • 페도라

페도라는 보안성이 월등히 향상 됨


  • 우분투

세련되고 깔끔하다. 자동화

데스크탑용도에 가장 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개발이나 서버 운영을 위해서는 세팅을 해주어야 한다는 단점


  • 데비안 

투표를 통한 민주적인 개발 방식.

완전한 비영리 추구 등이 특징으로 가장 리눅스다운 리눅스라는 평


  • CentOS

유료 레드헷의 무료 버전 클론(복제품)임 

  • else

슬랙웨어(Slackware) - 가장오래된 배포본, 안정성과 보안성, 서버용 , 세팅어려움

수세(Suse) - 독일개발 하드웨어 드라이버지원의 원활함 YaST라는 손쉬운 설정도구가 특징

맨드리바(Mandriva) - 맨드레이크(Mandrake)라고 불리운 배포본, 하드웨어 감지 기능이 뛰어나고, 다양한 그래픽 환경을 제공, 버그나 문제점에 대한 처리가 빠른게 특징

젠투(Gentoo) - 다른 배포본들은 미리 컴파일 된 바이너리 파일들을 이용하여 설치하는데 반하여 소스코드를 직접 컴파일 하면서 설치하기 때문에 해당 컴퓨터에 가장 최적화된 리눅스를 얻을 수 있음


출처 : 해커스쿨

공부 목적으로 정리 및 포스팅, 문제시 삭제하겠습니다.



반응형

'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택(Stack)  (0) 2016.02.15
자료 구조(Data Structure)  (0) 2016.02.13
PORT 번호로 실행중인 PID찾기  (0) 2015.08.24
리눅스 netstat  (0) 2015.08.24
리눅스 그룹관리  (0) 2015.08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