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gramming

자료 구조(Data Structure)

naaya 2016. 2. 13. 01:47
반응형

| 자료구조(data structure)

전산학에서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.

어떤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자료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, 자료들을 가장 적합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함.

어떤 자료구조를 쓰느냐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달라지고 성능도 달라지게 된다.



| 자료구조의 선택 기준

작업의 효율성, 추상화, 재사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황에 따른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.

자료의 처리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아래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.


1. 자료의 처리시간

2. 자료의 크기

3. 자료의 활용 빈도

4. 자료의 갱신 정도

5. 프로그램의 이식 용이성



| 자료구조의 분류

| 선형구조(Linear)

자료를 구성하는 원소들은 순차적으로 나열시킨 형태





하나의 자료 뒤에 하나의 자료가 존재하는 것

배열, 리스트, 스택, 큐, 데크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.


| 비선형 자료구조(NonLinear)




하나의 자료 뒤에 여러개의 자료가 존재할 수 있는 형태

트리와 그래프가 대표적이며 계층적 구조를 나타내기에 적합합니다.



reference : http://swalloow.tistory.com/21

반응형

'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해커스쿨  (0) 2016.02.20
스택(Stack)  (0) 2016.02.15
PORT 번호로 실행중인 PID찾기  (0) 2015.08.24
리눅스 netstat  (0) 2015.08.24
리눅스 그룹관리  (0) 2015.08.20